티스토리 뷰
1. 연결 연산자
▶ 연결 연산자 ( || ) 는 shift + \ 로 나타낼 수 있다.
select [칼럼명 1] || [칼럼명 2] from [테이블명];
연결 연산자 ( || ) 양쪽의 열이 결합되어 단일 열을 출력한다.
select first_name || last_name from employees;
|
→ |
|
▶ 연결 연산자 사용 전 |
▶ 연결 연산자 사용 후 |
2. 리터럴 문자열
▶ 날짜 및 문자 리터럴은 반드시 작은 따옴표(' ')로 묶어야 하지만 숫자 리터럴은 그럴 필요가 없다.
select first_name || ' ' || last_name from employees;
두 열의 구분을 위해 두 열 사이에 작은 따옴표(' ')로 묶어준 공백을 추가한다.
select first_name || ' AND ' || last_name from employees;
두 열의 구분을 위해 두 열 사이에 작은 따옴표(' ')로 묶어준 문자열을 추가한다.
3. 대체 인용(q) 연산자
select ' 2019's 연봉 ' || salary || '만원' from employees; --에러
select q'[ 2019's 연봉 ]' || salary || '만원' from employees;
문자열 자체에 작은 따옴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, 이것은 문자열 구분자로 해석되어 버린다.
이런 경우, 대체 인용(q) 연산자를 사용하여 대괄호 [ ] 가 문자열 구분자로 사용되게 한다.
select q'[ 2019's 연봉 ]' || salary || '만원' from employees;
select q'{ 2019's 연봉 }' || salary || '만원' from employees;
select q'< 2019's 연봉 >' || salary || '만원' from employees;
select q'A 2019's 연봉 A' || salary || '만원' from employees;
위의 네 줄의 결과는 모두 같다. 구분자는 [ ], { }, < >, A A 등 모든 한 쌍의 문자가 가능하다.
'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QL] WHERE 절 (비교 연산자/ BETWEEN 연산자) (0) | 2020.01.15 |
---|---|
[SQL] DISTINCT 로 중복 행 제거 (0) | 2020.01.15 |
[SQL] ALIAS 로 칼럼 별칭 설정 (0) | 2020.01.15 |
[SQL] DESCRIBE 로 테이블 구조 확인 (0) | 2020.01.14 |
[SQL] SELECT 문 기본 /USER_TABLES /DUAL (더미 테이블) /NULL 계산 (0) | 2020.01.13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sql null
- sql 치환 변수
- sql 날짜연산
- Python
- 파이썬 설치
- 오라클
- 파이썬
- 동탄눈솜
- sql 근속연수
- sql dual
- sql 근속일수
- SQL
- where 절
- 동탄수철이네
- oracle
- SQL 날짜
- sql 날짜함수
- 눈솜
- sql undefine
- Where
- sql oracle
- sql where
- 치환 변수
- undefine
- sql where 연산자
- python 3.8.1
- sql 근속월수
- sql months_between
- SQL 기본
- sysdate 날짜 연산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